관찰반응 | 반응 | 점수 |
눈 뜨기(E) (eye opening) |
자발적으로 눈을 뜬다(open eyes spontaneously) | 4 |
명령에 따라 눈을 뜬다(open eyes to command) | 3 | |
통증 자극에 의해서 눈을 뜬다(open eyes to pain) | 2 | |
전혀 눈을 뜨지 않는다(no eye opening) | 1 | |
언어반응(V) (best verbal response) |
적절하고 지남력이 있다(appropriate and oriented) | 5 |
지남력이 없고 혼돈된 말을 한다(disoriented and confused) | 4 | |
부적절하고 혼란된 말을 한다(inappropriate words) | 3 | |
이해할 수 없는 소리를 낸다(incomprehensive sounds) | 2 | |
소리를 내지 못한다(no sounds) | 1 | |
운동반응(M) (best motor response) |
명령에 따른다(obey command) | 6 |
통증자극에 국재성 반응이 있다((localize to pain) | 5 | |
통증자극에 도피성 반응을 보인다((withdraw to pain) | 4 | |
통증자극에 이상굴절 반응을 보인다(abnormal flexor response) | 3 | |
통증자극에 이상신전 반응을 보인다(abnormal extensor response) | 2 | |
운동 반응이 없다(no response) | 1 |
GCS 점수에 따라 외상의 중증 정도를 구분할 수 있는데 GCS 3~8점은 중증 외상, GCS 9~12점은 중등도 외상, GCS 13~15점은 경도 외상으로 구분한다.
Jennett등이 10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외상 초기의 GCS와 예후의 관계를 추적해 본 결과 GCS가 3~4점인 환자의 97%가 지속성 식물상태로 있거나 사망하였고, GCS가 8점인 환자의 25%가 식물상태로 있거나 사망하였으며, 61%가 양호한 회복, 또는 중등도의 장애가 남았다고 보고하였다.
혼수상태의 환자는 식물인간 상태, locked-in syndrome과 같은 가성 혼수, aninetic mutism과 구별되어야 한다.
운동반응 측정(반응시간) (0) | 2022.04.22 |
---|---|
몸통 굴곡(굽힘) 근력검사(Manual Muscle Test; Trunk Flexion) (0) | 2022.04.11 |